본문 바로가기

담話

아름다운 거짓말 / 넥스터스


아름다운 거짓말 _ 대한민국 20대, 세계의 사회적 기업을 만나다
넥스터스 지음

루쓰언니가 '사회적 기업'에 관한 책들을 찾다 발견한 책.

우선, '사회적 기업'과 기업내 CSR(coperation social responsibility,기업의사회적 책임)'프로그램'이 무슨 차이인가가 궁금키도 했지만, 대학생 탐방단이 인도의 사회적 기업을 '견학'하고 발간한 책인데도 불.구.하.고 그들의 시시콜콜한 프로필과 에필로그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은 점이 더 마음에 들었다.


*사회적 기업이란, 경제적 이윤보다 사회적 미션을 중시하는 기업

힌두스탄 유니레버가 중시하는 또 다른 가치는 '사회'이다. 기업이 물건만 판매하는 시대는 지났으며, 이제는 사회적인 가치를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힌두스탄 유니레버가 발행한 연차 보고서를 보면, '기업 비즈니스의 효과를 사회로'라는 목표 아래 높은 도덕적,윤리적,사회적 기준을 소비자와 사회로 확산,적용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문구가 명시되어있다. (중략) 사람들의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품목을 주력사업으로 삼고 있는 힌두스탄 유니레버의 특성상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힌두스탄 유니레버가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만족시켜야하고, 이를 위해 좋은 물건을 만들고 고용을 창출하는 것 외에 무언가가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_P.59

다국적기업 유니레버는 인도의 농촌마을에서 '손 씻기' 운동을 한다. 엄마들을 대상으로 학교에 다녀온 자녀에게 손씻기를 어떻게 시켜야하는지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TV보급률도 낮고, 문맹률도 높아 직원들이 직접 교육해야하지만 (인건비가 많이 들지만) 엄마들에게 직접 유니레버의 비누를 쥐어주고 하는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가 좋다고.



*'직접' '현장'이 중요하다. 
그라민 은행의 설립자인 무하마드 유누스_

세계은행은 자신들이 빈곤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한다. 만약 그들의 말에 진실함이 깃들어 있다면 나는 감히 세계은행 본사를 방글라데시 다카로 옮길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된다면, 두 가지 좋은 결과가 생길 것이다. 첫째, 세계은행 직원들이 빈곤의 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가난한 사람들이 정녕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빈곤의 현장에서 불편한 생활을 하다보면 빈곤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없는 직원들은 자연스럽게 세계은행을 떠날 것이다.
_P.71


내 일기장에 자주 ' 고등교육을 받은 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앉아있는 죄책감(?)'을 그적이는데, 이런 부채의식은 사회적 지각생으로서만 느껴야할게 아니라 어쩌면 평생 고민해야하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책상에 앉아있을때 '직접'과 '현장'을 늘 무겁게 생각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일련의 그 무게감을 단순한 시혜로 생각하지 않을 수 있을까.



* 저소득층은 까다롭다

미시간대 경영대학원의 프라할라드 교수는 자신의 저서 <저소득층을 공략하라>에서 저소득층을 향한 마케팅과 상품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빈곤층' 수요자가 오히려 까다롭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들이 첨단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여러가지 악조건과 열악한 인프라, 제품을 함부로 다루는 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의 특성상 이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일수록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소득층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사용법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_P.125


 방글라데시에 처음 그라민 은행(소액대출은행)이 생겼을때 사람들은 그곳에서 돈을 빌리면 끌려간다느니, 기독교로 개종해야한다느니 등 좋지 않은 소문이 돌았다고 한다. 지금까지 무담보로 돈을 대출해주면 차용자를 믿을 수 있을까만을 고민했지, 정작 빌리는 사람들이 빌려주는 사람을 의심할 수 있다는 생각해보지 못했다는걸 깨달았다. 책에는 결과론적으로 '별탈없었다'라고만 하고 있지만 '어려웠을 첫 신뢰'를 이끌어낸 힘은 무엇이었을까? 궁금. 


* ESP (Enterprise solutions to poverty_ 빈곤과 저개발 문제에 관한 기업적 해결방식)의 특징

첫째,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는 경영 전략의 하나로 저개발과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ESP를 실천하는 기업은 저소득층을 수익을 추구하는 대상으로 이해한다.
둘째, 저소득층에게 자생적 성장수단을 제공한다. 단순히 경제적 원조만 제고하는게 아니라 저소득층의 성장에 필요한 기술과 교육 등 인적,물적,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돕는 것이다. 다시말해 저소득층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_P.170



* 사회적 기업을 신뢰하는 젊은이들에게. _ 박원순, 고영

기존의 사회적 기업은 제1섹터, 즉 공공재정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 정부의 정책수단이라는 인식이 강하고요. 이런 상태에서 사회적 기업이란 부가가치를 생산하지 못하는 저효율적인 조직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런데 저는 기존의 사회적 기업이 갖는 한계를 중장년층이나 저학력자를 단기적으로 이직 및 전직 훈련시키는 것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바로 이 시점에 아이디에와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젊은 세대들이 필요한 것입니다._P.214

'기업시민'이라는 개념을 볼까요? 이 말은 기업이 시민사회의 일원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기업이 돈을 많이 벌어 고용을 창출하고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보았지만 지금은 사회진보에 기여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기업도 하나의 운동입니다. 저는 사회 운동과 기업 경영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시민운동을 하는 저 역시 CEO 그룹의 멤버에요. 저도 기업 경영을 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희망제작소는 형식적으로는 재단이지만 엄밀하게 말해 하나의 기업입니다. 아름다운 가게 역시 마찬가지죠. 동시에 유한양행을 설립한 유일한 선생은 사회운동가셨습니다.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운동가셨죠. 다만 기업의 형식을 빌렸을 뿐입니다. _P.206

고결한 영혼은 모든 문제를 푸는 왕도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명분이야말로 세상의 모든 힘을 이끌어 내는 원천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실과 타협하는 것보다 확고한 명분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_P.218

사회의 혁신은 제도의 힘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조직의 혁신도 탁월한 전략만으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두려움과 불안감을 이겨내는 도전, 배움과 깨달음을 반복하는 성찰, 도전과 성찰을 반복하는 하루 일과 속에서 혁신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인생 전체를 대변하고 의미있는 인생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_P.224



    * 영화 <세 얼간이>에서 가난한 라주의 집이 나오는 장면은 흑백이다.
 영화에서 그의 집이 배경이 되면 갑자기 쌩뚱맞게 흑백으로 바뀌는 것이다. 나는 그것이 가난의 그늘진 모습을 표현한 영화적 상상력이라고 생각하고 감독의 '유머'에 감탄했다. 그.런.데. 인도에서는 실제로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전기불을 켜기 힘들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내뿜는 케로젠 램프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가정이 많다고 한다. 그들은 똘똘한 자녀가 공부하기 위함이 아니면 저녁에 불을 켜지 않는다. 그 흑백장면은 영화적 상상력이 아니라 현실을 말하고 있는 것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