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수전 / 김규항




처음엔,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이 이 책을 어떻게 읽었을까, 를 생각했는데
사실은, 예수님을 믿는자들,
나같이 '성자 예수님'을 아는 사람들이 어떻게 읽었을까..가 궁금한 책이었다.


알다시피 오늘 대개의 사람들에게 예수는 갈릴래아에서 온 메시아도 유다에서 온 메시아도 아닌 '교리 속에서 온 메시아'다. (중략) 오늘 날 대게 사람들은 예수가 정말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떻게 활동했으며 무엇을 꿈꾸었는지 왜 죽임을 당했는지 따위는 모조리 생략한채, 그를 단지 교리의 주인공으로만 기억한다. 정말 예수는 단지 교리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그 고단한 삶을 살았단 말인가? _ p. 25
 
요즘,  새벽미사가 기쁘지 않다.
다 아는(것 같은) 새벽 공기, 다 아는(것 같은) 새벽 성당, 다 아는(것같은)  새벽의 하느님.
어쩌다 이렇게 시시해(?)져 버렸는지 나도 내가 놀랍고 무서웠다.
그때의 이 물음은, 하느님이 이 무기력한 나를 보시고 한줄기 동아줄을 내려주신것 같았다.
이거라도 잡고 올라와봐라..
 

예수의 모든 행동은 ' 모든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애끓는 마음'에서 시작한다. 그의 분노 역시 애끊는 마음에서 시작된다.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애끊는 마음이 자연스레 그들의 고통을 낳는 사람들과 사회체제에 대한 강렬한 분노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예수를 따르거나 예수에게서 배우는 일 역시 '모든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애끊는 마음'을 갖는 일에서 출발한다 _ P.38
애끊는 마음과 분노. 나의 분노를 생각하면 늘 애끊는 마음이 있었다. 나는 곰식이가 풀이 죽어 목소리에 힘이 없거나, 짠이 거울앞에 서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패션쇼를 하고 있을때 분노했다. 나의 분노는 진심이었고 진심으로 애가 끓었다. 그리고는?
 나머지는 분노의 흉내였다. 무료진료를 찾아다니다가 지하철역에서 사망한 할머니에,
4대강사업으로 죽어가는 환경에,  방사성위험도를 숨기고 있는 듯한 정부에 나는 분노를 연기했다. 스믈스믈 느껴지는 씁쓸함을 분노로 포장하기에는 멋쩍다. 내가 누군가에게 너그럽다면 나는 마음이 넓은게 아니라 한번도 애끓을만큼 그를 생각해보지 않아서 일지도 모른다. 이제 나는 '모든'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애끓는 마음을 연습해본다. 주일학교에서 배우던 "예수님 닮기"는 여기서부터 시작하는거로구나! 내가 다 안다고 생각하던 애인의 새로운 모습을 보는것 같다.




꿈꾸는 것을 중단하고, 현실적인 타협안을 찾는 세상을 분노하시고 용서하시는 예수님.
2000년 전 현실위에 세우시려던 하느님나라를 오늘 날의 나는 구름 위에 지으려고 하지 않았는지.. 메시아로서 핍박받는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하실 줄 알았더니 무기력하게 십자가에 처형당하신 당신. 당신의 축복을 바란다면서 사실은 내가 정한 축복을 기다렸던것은 아닌지..

예수의 부활은 역사 속에 실제한 사건임에 틀림없다. 예수가 부활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가장 극적인 일은 예수가 잡히자 뿔뿔히 흩어졌던 제자들이 어느 순간 "예수가 부활했다!" 외치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예수를 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들의 달라진 모습 사이에 예수의 부활사건이 있었다
_P.261

  마지막 장, 예수가 부활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났다.를 몇 번이나 읽었는지 모른다. 눈물이 펑펑 나서 엉엉 울었다.

머리말에서 밝힌 설명을 이해못할 건 아니지만,
애끓어 분노하는 -  정치적 -  혁명가 - 열렬히 환호받고 - 철저히 경계받은 - 지도자가
존댓말로 ' 합니까. 하십시오. " 하는것은 아무래도 어색하다. 

내일모레가 부활절이다.
지난 주에 예수님이 숨을 거두시고 휘장이 위에서 아래로 찢겼다.
나는 무릎을 꿇었다. 내일 모레, 부활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아, 아직 먹먹하다)